[서양고대철학사] 플라톤의 형상론(이데아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18:20
본문
Download : [서양고대철학사] 플라톤의 형상론(이데아론).hwp
그리고 先在했던 영혼이 거기서 이데아들을 보았다.
서양고대철학사 교제로 쓰이는 코플스톤 저 의 『그리스 로마 철학사』의 플라톤의 ‘형상론’은 플라톤의 대화편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했으나 그보다는 이해하기 쉽게 나름대로의 체계를 다시 세워 서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순수하고 독립적이고 실재인 이데아들은 ‘하늘 저쪽’ 에 거처한다. 그 세계는 습관과 감각, 상식이 지배하는 세계이기 때문에 실재를 파악치 못하는 그림자의 세계요, 끊임없이 變化하여 혼돈이 지배하는 流動과 生滅의 세계이다.
![[서양고대철학사]%20플라톤의%20형상론(이데아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4%9C%EC%96%91%EA%B3%A0%EB%8C%80%EC%B2%A0%ED%95%99%EC%82%AC%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D%98%95%EC%83%81%EB%A1%A0(%EC%9D%B4%EB%8D%B0%EC%95%84%EB%A1%A0)_hwp_01.gif)
![[서양고대철학사]%20플라톤의%20형상론(이데아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4%9C%EC%96%91%EA%B3%A0%EB%8C%80%EC%B2%A0%ED%95%99%EC%82%AC%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D%98%95%EC%83%81%EB%A1%A0(%EC%9D%B4%EB%8D%B0%EC%95%84%EB%A1%A0)_hwp_02.gif)
![[서양고대철학사]%20플라톤의%20형상론(이데아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4%9C%EC%96%91%EA%B3%A0%EB%8C%80%EC%B2%A0%ED%95%99%EC%82%AC%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D%98%95%EC%83%81%EB%A1%A0(%EC%9D%B4%EB%8D%B0%EC%95%84%EB%A1%A0)_hwp_03.gif)
![[서양고대철학사]%20플라톤의%20형상론(이데아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4%9C%EC%96%91%EA%B3%A0%EB%8C%80%EC%B2%A0%ED%95%99%EC%82%AC%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D%98%95%EC%83%81%EB%A1%A0(%EC%9D%B4%EB%8D%B0%EC%95%84%EB%A1%A0)_hwp_04.gif)
![[서양고대철학사]%20플라톤의%20형상론(이데아론)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4%9C%EC%96%91%EA%B3%A0%EB%8C%80%EC%B2%A0%ED%95%99%EC%82%AC%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D%98%95%EC%83%81%EB%A1%A0(%EC%9D%B4%EB%8D%B0%EC%95%84%EB%A1%A0)_hwp_05.gif)
설명
Download : [서양고대철학사] 플라톤의 형상론(이데아론).hwp( 36 )
다. 따라서 이 세계에서는 인식론적, 존재론적으로 확실한 기준과 근거를 찾을 수 없기에 불확실한 감각의 세계로 규정된다 반면, 동굴 밖의 세계는 참다운 실재요, 진리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경험적인 감각의 세계는 생성,變化,운동,소멸하는 유동의 세계로서 단지 現象에 불과하지만, 이데아는 현상의 배후에 존재하는 참된 존재이다.
Ⅱ. 동굴의 비유
플라톤은 이데아를 說明(설명) 하기 위해 『국가』의 7권 앞 부분에서 ‘동굴의 비유’를 하고 있는데, 우리는 그로부터 플라톤의 의도를 읽어 낼 수 있다아
먼저, 플라톤은 동굴의 비유를 통해 두 세계로 구분하고 있다아 전자는 우리의 일상적인 세계, 즉 현상 세계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인간은 무지와 편견으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플라톤이 인간을 동굴 속에 묶여진 죄수라 비유함은, 일상의 인간은 감각과 속된 생각들에 사로잡혀서 감각적 인식을 진리로 고집하고, 실재, 즉 이데아의 세계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세속적 욕망에 사로잡혀 착각 속에서 생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세번째로, 죄수가 동굴 밖으로 나…(생략(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서양고대철학사 교제로 쓰이는 코플스톤 저 의 『그리스 로마 철학사』의 플라톤의 ‘형상론’은 플라톤의 대화편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explanation)했으나 그보다는 이해하기 쉽게 나름대로의 체계를 다시 세워 서술하고자 한다. , [서양고대철학사] 플라톤의 형상론(이데아론)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서양고대철학사] 플라톤의 형상론(이데아론)
들어가며...
Ⅰ. 이데아란 무엇인가?
Ⅱ. 동굴의 비유
Ⅲ. 이데아의 성질과 그 의의
Ⅳ. 이데아와 사물과의 관계
Ⅴ. 이데아들의 계층 및 선(善)의 이데아
이러한 이데아는 사물의 본질적 형상을 의미하는데, 현상계가 수시로 變化하고 생성되는 세계인데 대하여, 그 자체로 실재하고 영원 불변하며 단지 사유에 의해서만파악될 수 있는 본질의 세계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현상계는 불완전한 세계이며 모형과 그림자에 불과하지만, 이데아계는 그 현상의 배후에 눈에 보이거나 손에 잡히지 않는 완전무결한 실재인 이데아로 구성된 세계로서 현상계의 원형이며 이상적 세계이다. 항구적 불변의 세계이므로 인간의 이성적 인식의 대상이며, 윤리적 가치 판단의 기준이 되는 정신의 세계, 예지의 세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