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아동] 청각장애아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21:54본문
Download : [인문][아동] 청각장애아동.hwp
, [인문][아동] 청각장애아동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아동 청각장애아동
![[인문][아동]%20청각장애아동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95%84%EB%8F%99%5D%20%EC%B2%AD%EA%B0%81%EC%9E%A5%EC%95%A0%EC%95%84%EB%8F%99_hwp_01.gif)
![[인문][아동]%20청각장애아동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95%84%EB%8F%99%5D%20%EC%B2%AD%EA%B0%81%EC%9E%A5%EC%95%A0%EC%95%84%EB%8F%99_hwp_02.gif)
인문,아동,청각장애아동,인문사회,레포트
설명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순서
청각장애아동
1. 定義(정이) 및 분류
1) 定義(정이) : 청각기관의 어떤 부위가 손상되어 듣는 기능이 저하 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
2) 분류
(1) 듣는 정도에 의한 분류
① 농 (聾 : deaf) : 보청기 사용유무에 관계없이 청각을 통해 음성언어의 수용이 어려운 상태. (일반적으로 청력 손실정도가 91dB 이상)
② 난청 (難聽 : hard of hearing) : 보청기 사용 유무에 관계없이 청각을 통해 음성언어의수용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 상태. (일반적으로 청력의 손실정도가 35~90dB 정도)
(2) 장애 부위에 의한 분류
① 전음(傳音)난청 : 외이부터 중이까지의 기관을 저음기관이라 함. 음을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부위인 전음기관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 청력수준은 (HL: Hearing Level)은 70dB를 넘지 않음. 음이 작게 들리는 상태 : 음을 크게 들려주면 정상 상태에 접근.
② 감음(感音)난청 : 내이부터 청신경, 중추신경 전달로, 대뇌피질 청각영역에 이르기까지 청각 신경부위인 감음기관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 청력수준은 다양함. 본인의 청력수준 이하의 음은 들리지 않음 : 음을 크게해도 단지 소음이 증폭되는 것과 같이 느끼게 됨.
③ 혼합 난청 : 전음 난청과 감음 난청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3) 장애가 처음 된 시기에 의한 분류
① 선천성 난청 : 출생 시 이미 장애가 있는 경우. 유전성(가족성) 난청, 태생성(임신중) 난청, 주생성(출생중) 난청으로 분류.
② 후생성 난청 : 출생 후 청각장애를 갖는 경우. 어습득 이전과 언어습득 이후로 분류.
2. 요인
(1) 유전성 요인
① 우성 유전 : 전음 난청 - 전음기관의 기형 혹은 변형. 감음난청 - 가족 진행성.
② 열성 유전 : 산발성 감음 난청. 산발성 난청 : 유전성 요인의 75~80%. 혈족 결혼과 깊은 관계.
(2) 출생 전 요인
① 모체 바이러스 감염 : 풍진, 마진, 소아마비, 일플루엔저 등 바이러스에 의한 난청.
② 약물…(생략(省略))
[인문][아동] 청각장애아동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아동] 청각장애아동
Download : [인문][아동] 청각장애아동.hwp( 16 )
다.
[인문][아동] 청각장애아동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