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기준고과 법 -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BARS)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4:30
본문
Download : 행위기준고과법.hwp
3 觀察가능한 행위의 확인
B…(생략(省略))4 유효한 행위의 구별
1) 대상직무확정
2) 행위진술
3) 각 범주 분류
4) 구체적 행위기술
5) 척도 재점검
5 학습효율
6 정책 이해도 증진
7 커뮤니케이션 증진
행위기준고과 법
행위기준고과 법 , 행위기준고과 법 -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BARS)에 대한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행위기준고과 법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레포트/법학행정
행위기준고과,법,법학행정,레포트
순서
Download : 행위기준고과법.hwp( 79 )



■ 행위기준고과법(BARS)
Ⅰ 의의
BAR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나타나는 중요한 사실을 추출해서 몇 개의 범주로 나눈 후 각 범주에 해당하는 중요한 사건을 척도에 의해 평정을 하는 인사고과 기법을 말한다.Ⅱ BAR의 특징
1 개발목표(goal)의 강조BAR에 의하면 목표(goal)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으며 어떤 행위가 목표(goal)달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MBO와 함께 사용할 때 더욱 유효하며, 특히 개발목표(goal)상의 강력한 도구가 된다
2 구체적인 직무에 대한 적용
BAR은 특정 직무나 직무군의 특성(特性)에 맞우어져 있기 때문에 효율적 행위를 지향함으로써 성과달성에 原因이 될 직무에 근거한 정보를 개인에게 제공한다.
행위기준고과 법 -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BARS)에 대한 연구
설명
다.
BAR은 전통적 인사고과 시스템의 취약점을 극복?보완하기 위해 1963년 개발하였으며, 평정척도법과 중요사건서술법을 보다 정교하게 계량적으로 수정한 기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