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금강산 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08:31본문
Download : 그리운 금강산 전.hwp
하지만 나의 눈을, 마음을 빼앗은 그림이 있었다.
그리운 금강산 전
레포트/예체능
설명
Download : 그리운 금강산 전.hwp( 49 )
,예체능,레포트
순서
2004년 10월 9일, 국립현대미술관이 10월초 서울에서 개최되는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총회를 기념해 마련한 기획전으로 덕수궁 미술관에서 열린 그리운 금강산이란 전시회를 통해 동양화를 다시 보게 되었다. 심형필의 시선을 빌려 완성된 기계적인 투시원근법과 광원명암법에 의한 매우 사실적인 느낌의 이 <만물상>은 사람의 마음을 빼앗는 마력이 있는 듯 했다. 이번 전시회에 출품된 <만물상>에서도 그 표현방법을 알아볼 수 있다아 <만물상>이란 강원도 (북한) 고성군 온요점 외금강이 있는 금강산 명소의 하나로 온요점의 서쪽 끝인 외봉산의 남쪽 사면 일대를 가리킨다. 작가는 8.15직후 이태준, 임화, 이원조 등이 중심이 되어 해방 이틀만인 17일에 조선문학건설본부를 결성하게 된다 이에 음악과 미술 및 타 분야에서도 분야별 건설본부가 조직되는데, 이 미술건설본부 회원으로서 활동을 하며 서양화의 투시원근법과 명암법을 의거하여 대상을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화면 속에 3차원 공간감과 입체감을 넣고자 시도한다.



그리운金剛山전
2004년 10월 9일, 국립현대미술관이 10월초 서울에서 개최되는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총회를 기념해 마련한 기획전으로 덕수궁 미술관에서 열린 그리운 금강산이란 전시회를 통해 동양화를 다시 보게 되었다. 심형필의<만물상>이었다. 대부분의 작품이 동양화 였는데, 평소 동양화 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그리운金剛山전 , 그리운 금강산 전예체능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