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학기 식물의학 기말시험 과제課題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5:50
본문
Download : 20201기말_농학3_식물의학_공통.zip
병징은 싹의 기부나 중앙 부위에 갈색의 병반이 나타나고 심하면 말라죽는다.
2.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의 형태적 특징, 발생생태, 기주 및 피해, 방제법을 설명(explanation)하시오.
(가) 기후 전염
도열병 상습발생지에서의 재배시기 조절 벼 군락내의 미세기상을 고려한 재식밀도의 조절 광합성과 질소대사를 고려한 3요소 균형시비, 냉수답에서의 관개수 조절 및 이병물을 제거한다. 또한 못자리 후기에 나타나는 도열병도 모 도열병에 포함된다
<< 함께 제공되는 참고資料 한글파일 >>
순서
다.
Download : 20201기말_농학3_식물의학_공통.zip( 77 )
<벼도열병>
5. 세균성벼알마름병.hwp
(나) 잎도열병
이삭목이 도열병 침입을 받으면 침해 부위의 위쪽은 말라 죽거나 백수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 부착기로부터 침입사를 내어 잎의 표피조직을 뚫고 조직 안으로 침입하여 증식하여 병반을 형성한다.
1. 고추탄저병.hwp
(가) 모도열병
(다) 이삭목도열병과 가지도열병
(나) 종자 전염
1. 벼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고추탄저병, 오이바이러스병,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병징, 전염경로,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을 각각 설명(explanation)하시오.





1. 벼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고추탄저병, 오이바이러스병,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병징, 전염경로,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을 각각 설명하시오. 2.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의 형태적 특징, 발생생태, 기주 및 피해, 방제법을 설명하시오. - 목 차 - 1. 벼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고추탄저병, 오이바이러스병,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병징, 전염경로,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을 각각 설명하시오. 2.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의 형태적 특징, 발생생태, 기주 및 피해, 방제법을 설명하시오.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고추탄저병.hwp 2. 담배가루이.hwp 3. 배나무붉은별무늬병.hwp 4. 벼도열병.hwp 5. 세균성벼알마름병.hwp 6. 오이바이러스병.hwp 7. 온실가루이.hwp
7. 온실가루이.hwp
3. 배나무붉은별무늬병.hwp
4. 벼도열병.hwp
2. 담배가루이.hwp
2.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의 형태적 특징, 발생생태, 기주 및 피해, 방제법을 설명(explanation)하시오.
2) 전염경로
(나) 종자 전염
1. 벼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고추탄저병, 오이바이러스병,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병징, 전염경로,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을 각각 설명(explanation)하시오.
식물의학,방통대식물의학,방송대식물의학,식물의학과제물,식물의학과제,식물의학기말시험
- 중략 -
방송통신 > 기말시험
1) 병징
벼가 발아함과 동시에 도열병균의 침입을 받아 나타난다.
- 목 차 -
6. 오이바이러스병.hwp
(가) 기후 전염
1. 벼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고추탄저병, 오이바이러스병,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병징, 전염경로,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을 각각 說明(설명) 하시오.
2020년 1학기 식물의학 기말시험 과제課題물
3) 전염경로에 따른 방제법
설명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의 육성사업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신품종을 침해할 수 있는 새로운 균계의 출현이나 소수로 존재하던 균계가 증식에 알맞는 품종의 재배증가로 증식되어 재배 후 2~3 년내 저항성이 붕괴되는 example(사례) 는 종종 있어 왔지만 섬진벼 팔공벼 동진벼 신선찰벼 등은 현재까지도 저항성을 유지하고 있어 품종 선택을 잘하면 도열병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열병균의 포자가 벼 잎에 떨어져 알맞은 수분이 있으면 포자가 발아하고 발아관의 끝에 부착기를 형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