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동문선(東文選)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0:40본문
Download : 동문선.hwp
동문선(東文選),서거정,동문선의 성립,성종 6년,동국문사,동문선의 역사적 가치,동문선의 주요내용,





5. 동문선의 주요판본
[중요] 동문선(東文選)에 대하여
4. 동문선의 체계 및 주요내용
동문선(東文選)에 대하여 [참고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서울: 한국브리태니커회사, 2004. · 김종철. 「동문선의 편찬과정에 대하여」, 『대동한문학』제 12권. 237-264.
[참고data(資料)] 「한국민족culture대백과사전」, 서울: 한국정신culture연구원, 2004.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동문선(東文選)에 대하여
1518년(중종 13)에는 신용개(申用漑 : 1463~1519) 등에 의해서 〈속동문선 續東文選〉이 다시 편찬되었다. 3번째로는 1713년(숙종 39) 송상기(宋相琦 : 1657~1722) 등에 의해 개편되었다. 본문 33권 14책, 목록 1책을 합해서 35권 15책에 약 1,200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사(辭)·부(賦)·시(詩)·문(文) 등 여러 종류의 작품 4,300여 편이 실려 있다.
· 김종철. 「동문선의 편찬과정에 대하여」, 『대동한문학』제 12권. 237-264.
〈동문선〉의 편찬은 3index에 걸쳐 이루어졌으나 역싸적·문학적 의의나 분량으로 볼 때 맨 처음에 나온 〈동문선〉이 가장 중요하다.
설명
순서
1. 동문선(東文選)이란?
다. 본문 21권 10책과 목록 1책을 합한 23권 11책에 약 1,300 편의 작품이 실려 있는데 강한 유교사상이 엿보인다. 서거정은 서문에서 조선조의 여러 대를 거쳐 나온 많은 인재들이 훌륭한 정기로 글을 지어 그 글들이 생동감 있고 뛰어나다면서, `우리나라의 글은 송(宋)·원(元)의 글이 아니며, 한(漢)·당(唐)의 글도 아니며, 우리나라의 글이다`라고 하여 당시의 독자적인 국학의식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문화유산의 보존과 계승의식을 드러냈다. 뒤에 나온 〈동문선〉과 구별하여 〈정편동문선 正編東文選〉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청(淸)의 강희제(康熙帝)가 우리나라의 시문을 보고 싶다고 하여 만든 것이다. 본문 130권 42책과 목록 3책을 합해서 모두 133권 45책이다.
3. 동문선의 성립
2. 서거정(徐居正)의 생애
6. 동문선의 역싸적 가치
Download : 동문선.hwp( 26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서울: 한국브리태니커회사, 2004.
7. 출처
1478년(성종 9)에 서거정(徐居正 : 1422~92)이 처음 엮은 시문집. china(중국) 양(梁)의 소통(瀟統 : 501~531)이 진(秦)·한(漢) 이후 제(齊)·양(梁)대의 대표적인 시문을 모아 엮은 〈문선 文選〉을 본떠 만들었다. 이 책은 〈동문선〉이라고 했으나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신찬동문선 新纂東文選〉이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