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항지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1:41본문
Download : 기항지Ⅰ.hwp
[核心 정리(arrangement)]
지은이 : 황동규(黃東奎, 1938- ) 시인. 서울 출생. 서울대 교수. 1958년 <현대문학>에 ‘시월’, ‘즐거운 편지’ 등이 추천되어 등단. 여행을 통하여 외면적인 풍경을 묘사하되 단순히 그 풍경들이 외면적 묘사에 그치지 않고, 황량하고 삭막한 내면의 풍경들을 드러내는 데 그는 일정한 시적 성취를 보여 주고 있다 시집으로 <삼남에 내리는 비>, <풍장(風葬)> 등이 있다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율격 : 내재율
성격 : 서정적. 주지적
어조 : 차분하고 담담한 어조
심상 : 묘사적, 시각적 심상
표현 : 내면적 고백보다는 객관적 묘사에 의존하고 있음. 외면적 풍경을 통해 시인의 내면을 암시하고 있음. 사물을 의인화하여 서정적 자아의 내면적 정서를 담고 있는 매개물로 사용
구성 :
1연 항구 도착
2연 항구 풍경
3연 항구에서의 행동
4연 배들의 모습
…(To be continued )
순서
정박(碇泊) 중의 어두운 - 항구(港口)의 안을 들여다 보고 있었다. : 한밤중의 배들이 뱃머리를 바다 쪽이 아닌 항구 쪽을 향해 있었다는 뜻으로 항구의 안을 들여다 보는 배의 모습은, 곧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는 시인의 모습이기도 하다. : 한밤중의 배들이 뱃머리를 바다 쪽이 아닌 항구 쪽을 향해 있었다는 뜻...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정박(碇泊) 중의 어두운 - 항구(港口)의 안을 들여다 보고 있었다. 바다는 무한한 자유의 표상이며 동경의 장소이다. 정박 중인 어두운 용골들이 바다를 바라보는 곳이 아니라 항구의 안을 들여다 본다는 것은 안락한 현실에 안착하고 싶은 화자의 무의식적 욕망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어두운 하늘에 수삼개(數三個)의 눈송이 / 하늘의 새들이 따르고 있었다. 그러나 화자는 여기서 방황하고 떠돌아야만 하는 불확실한 바다의 삶보다는 안전한 육지의 삶을 희구하여 본다. : 바람에 흩날리며 내리는 눈발을 현란한 이미지로 그려 내어 하강의 이미지를 상승의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만들고 있다 시적 화자는 현실에 안착하고 싶은 욕망에서 머물지 않고 ‘눈송이’와 ‘새’로 상징되는 자유를 향한 동경의 욕망을 보여 준다. : 한밤중의 배들이 뱃머리를 바다 쪽이 아닌 항구 쪽을 향해 있었다는 뜻... , 기항지Ⅰ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기항지Ⅰ.hwp( 32 )
기항지Ⅰ
다. 방황은 그런 자유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다.,인문사회,레포트
정박(碇泊) 중의 어두운 - 항구(港口)의 안을 들여다 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