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理論(이론)과 관련판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07:46
본문
Download :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이론과 관련판례.hwp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理論(이론)과 관련판례
설명
순서
I. 서설
1. 의의
2.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의 기능
3. 우리 민법상 인정여부
II.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의 법적 성질
1. 논의의 실익
2. 학설
(1)불법행위책임설
(2)계약책임설
(3)법정책임설
3. 검토
III.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의 유형
1. 계약체결의 준비단계의 경우
(1)계약체결의 준비단계에서 계약외적 법익의 침해
(2)교섭의 중단으로 인한 손해의 회피의무
2. 계약이 무효, 취소된 경우
(1)원시적 불능의 경우(제535조)
1)요건 2)效果
(2)착오에 기한 취소의 경우
(3)무능력에 의한 취소의 경우
3. 계약이 유효한 경우
(1)問題點 (2)인정여부
4. 판례의 입장
IV. 추가 참고판례의 정리(arrangement)
1)대판 2001.6.15 99다40418
2)대판 2002.4.9 99다47396
3)대판 2004.5.28 2002다32301
4)대판 2004.4.27 2003다7302
5)대판 1994.10.7 93나12091
V. 출처
I. 서설
1. 의의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이란 계약체결을 위한 준비단계 또는 계약의 성립과정에서 당사자 일방이 그에게 책임있는 사유로 상대방에게 손해를 준 때에 이를 배상해야 할 책임이다. 그러나 국내의 학설은 제535조 이외의 경우에 관하여도 이를 인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 다만 그 법적 성질이나 인정범위에 관하여는 학설상 차이가 있다
II.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의 법적 성질
1. 논의의 실익…(투비컨티뉴드 )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이론과 관련판례.hwp( 87 )
[채권각론]계약체결상의과실책임理論(이론)과판례
본 자료는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이론과 관련판례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2.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의 기능
계약체결과정에서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아직 계약이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피해자는 가해자에게 채무불이행책임을 물을 수 없고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
3. 우리 민법상 인정여부
불법행위책임을 개별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독일 민법과 달리, 우리 민법은 일반규정(제750조)을 두고 있으므로 인정할 실익이 없다는 부정설(양창수)도 있고, 판례도 아직 제535조 이외의 경우에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을 인정한 예가 없다. 그러나 불법행위책임의 경우에는 1)요건상의 제약, 2)입증책임, 3)보조자의 과실에 대한 면책가능성, 4)소멸시효 등에서 채무불이행책임을 묻는 것보다 피해자에게 불리한 면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합리성을 제거하고 피해자를 두터이 보호하기 위하여 인정된 것이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이다.[채권각론]계약체결상의과실책임이론과판례 ,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이론과 관련판례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본 자료(資料)는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理論(이론)과 관련판례에 대해 정리(整理) 한 보고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