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군사조직 및 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8 01:32
본문
Download : 북한의 군사조직 및 제도.hwp
레포트/인문사회
다.
북한의 군사조직 및 제도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북한의 군사조직 및 군 계급체계, 군 징병제도에 관련되어 깔끔하고, 간략하게 정리(arrangement)했습니다.



1. 북한의 군사조직
1) 군 조직
2) 당중앙군사위원회
3) 국방위원회
4) 인민군 당위원회
2. 군 계급 체계
1) 군사칭호
2) 현재 북한군 계급체계
3. 군 징병제도
1) 징병 대상
인민군당 위원회의 집행부서인 총정치국은 대대급까지 정치부를 두고 연대급 이상은 정치위원을, 대대급 이하는 정치지도원을 파견하여 각급 군사지휘관의 사업을 당적으로 조정통제하면서 그 사업결과를 당중앙위원회에 보고한다. 그 내용을 보면 원수, 장령, 군관으로 크게 분류돼 있다아 원수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차수, 장령에는 대장, 중장, 소장, 군관에는 대좌, 상좌, 중좌, 소좌, 대위, 상위, 중위, 소위로 각각 구분했다.여러분들에게 아무쪼록 활용이 되시길 빌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북한의 군사조직 및 제도인문사회레포트 ,
여러분들에게 아무쪼록 활용이 되시길 빌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2. 군 계급 체계
1) 군사칭호
계급을 뜻하는 군사칭호는 `군인의 군사적 전문 부문과 자격 및 상하급 관계를 규정하는 국가가 제정하는 칭호` 라고 북한 조선말사전에 정의(定義)되어 있듯이 말 그대로 `군인의 명예에 대한 호칭` 이라고 할 수 있다아
북한의 군사칭호는 1952년 12월 31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 최초로 제정되었다.
2) 현재 북한군 계급체계
원수급은 대원수, 원수, 차수 3종, 장령급에는 대장, 상장, 중장, 소장 4종, 군관급에는 좌급군관과 위급군관이 있으며 좌급군관으로는 대좌, 상좌, 중좌, 소좌가 있고 위급군관…(skip)
Download : 북한의 군사조직 및 제도.hwp( 47 )
북한의 군사조직 및 군 계급체계, 군 징병제도에 대해서 깔끔하고,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