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확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14:39
본문
Download :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확장_1144077.hwp
과학기술도서정보는 과학기술관련 분야의 단행본 도서종합 목록으로서 대덕연구단지내 government 출연 연구소를 중심으로 민간연구소, 대학등 약 40여개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과학기술 단행본들의 서지사항을 수록하고 있따 서명, 저자, 출판사항, 소장기관 등의 항목으로 되어 있으며 현재 약 40여만건의 가 구축되어 있따 과학기술문헌정보는 과학기술처 산하의 12개 government 출연 연구소와 서울대학교 등 3개 대학이 소장하고 있는 과학기술 관련 들을 정보산업, 신소재, 원자…(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확장_1144077.hwp( 97 )
순서
도서관정보화사업의확장 ,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확장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도서관정보화사업의확장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확장
다. 외국 도서관의 정보화의 현재상황과 결점
4. 정책에 대한 평가 및 앞으로 추진해야 할 방향
5. 結論(결론)
☺국립중앙도서관
국립도서관 소장 50만종의 목록에 관한 문자정보와 국내 박사학위 논문 6,000종의 목차에 관한 문자정보와 전문의 이미지 정보, 국내에서 간행되는 1,000종의 학술지 목차에 관한 문자정보와 전문의 이미지정보중 문자정보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컴퓨터에 보관하고 전문을 이미지로 입력한 화상정보는 CD-ROM으로 제작하여 서버에 접속된 Juke-box에 탑재하여 초고속정보통신망에 접속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1.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개념(槪念)과 기능
가.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정이
나 우리나라 도서관 정보화의 necessity 및 기대effect
2.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정책
가.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종합 계획 내용
나.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기대effect
3. 도서관 정보화 사업의 운영
가. 우리나라 도서관 정보화의 reality(실태)
나. 우리나라 도서관의 정보화의 현재상황과 결점
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전산화를 통한 국가문헌정보체제 및 도서관협력망의 총괄`이란 법적기능수행을 위하여 1991년부터 1997년까지 국내 495개 주요 도서관 및 해외의 문헌정보 유통기관을 체계적으로 연결하는 도서관정보전산망(KOLISNET : Korean Library Information System-Network)을 형성하여 문헌정보 DB를 공동으로 구축하고 활용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도서관정보전산망 구축계획`을 1990년 6월에 수립하여 추진중에 있따
☺ 과학기술전자도서관
연구개발정보센터는 과학기술정보를 시 공의 제약없이 검색 및 공급 받을 수 있는 전자도서관의 개발을 추진하여 연구개발정보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과학기술도서정보, 과학기술문헌정보, 과학기술처 연구보고서에 대한 전자도서관 시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따 현재 시범서비스되고 있는 전자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