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행정]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입증과 관련된 판례 법리 연구 /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6:04본문
Download :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입증과 관련된 판례 법리 연구.hwp
(당원 1991. 7. 12. 선고 90다9353 판결 참조). (대법원 1995. 2. 14. 선고 94누5069 판결) 같은 취지의 판례로 대법원 1999. 4. 27. 선고 99두202 판결이 있다 . 입증책임의 당사자 - 해고에 정당한 이유가 있다는 점의 주장·입증책임은 사용자에게 있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피고 공사의 지방부장으로 근무하던 때인 1980. 8. 29. 당시 비상계엄이 선포된 후 구성된 계엄사령부 산하 합동수사본부 소속 수사관에 의하여 국군보안사령부 서울지구 대공분실에 불...
설명
법학행정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입증과 관련된 판례 법리 연구 /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입증과 관련된 판례 법리 연구 1. 근로자가 구체적...
[법학행정]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입증과 관련된 판례 법리 연구 /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Download :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입증과 관련된 판례 법리 연구.hwp( 64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 행정소송법 제26조에 “법원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직권으로 증거조사를 할 수 있고, 당사자가 주장하지 아니한 사실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변론주의의 일부 예외를 인정하고 있으므로, 행정소송에서는 법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당사자가 명백하게 주장하지 않는 사실이라 할지라도 기록에 나타난 data(자료)를 기초로 하여 직권으로 심리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판단할 수 있다 할 것이다(당원 1992. 7. 10. 선고 92누3199 판결; 1991. 11. 8. 선고 91누2854 판결; 1988. 4. 27. 선고 87누1182 판결; 1969. 7. 29. 선고 68누21 판결 등 참조). 더욱이 근로기준법 제27조의 3에 따른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을 다투는 소송에 있어서는 해고의 정당성에 관한 주장·입증책임은 이를 주장하는 자가 부담한다 할 것이므로, 법원이 해고의 정당성에 관한 주장을 배척하면서 그 과정에서 근로자가 구체적으로 주장하지 아니한 잘못을 인정하였다고 하여 그것이 변론주의에 반하는 것도 아닐것이다.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입증과 관련된 판례 법리 연구 1. 근로자가 구체적...
순서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입증과 관련된 판례 법리 연구 . 근로자가 구체적으로 주장하지 아니한 해고의 잘못에 대한 판단 -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 취소소송에서 법원이 해고의 정당성에 관한 주장을 배척하면서 근로자가 구체적으로 주장하지 아니한 잘못을 인정하였더라도, 이는 변론주의에 반하는 것이 아닐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