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9:15본문
Download :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비속격형을 중심으로.hwp
두 번째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자. 이 논문에서는 수-분류사의 올바른 구조로 (5)을 주장하고 있다
(5) Num
Num Cl
세 개
(5)와 같은 구조를 내세우는 이유는 첫째, 의미적으로 보아 수-분류사에서 중심을 이루는 것은 분류사이기보다는 수사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의미적 양상과도 관련되는 것으로 수-분류사 중 분류사는 省略될 수 있으나, 수사는 省略될 수 없다.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9 ,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비속격형을 중심으로.hwp( 51 )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9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
다. 분류사를 핵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그 핵이 省略될 수 있다는 것으로 생각해야 하는데, 이는 핵이 통사 및 의미의 중심이라고 볼 때 받아들일 수 없는 결과가 아닌가 한다.
3.1. 수-분류사의 구조
수-분류사의 구조를 살피는데 있어서는 시정곤(2000)에서 지적했듯이 다음 세 가지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省略)설명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 첫째, 어휘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통사부에서 형성된 것으로 볼 것인가? 둘째, 두 成分 중 어느 것을 핵으로 볼 것인가? 셋째, 문법 범주는 무엇으로 볼 것인가?
첫 번째에 상대하여는 대부분의 기존 견해들 사이에 이견이 없는 것으로 보는데, 통사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대부분의 견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