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과 풍수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8 00:54본문
Download : 주택과 풍수지리.hwp
오행산의 구별과 길흉
오행상은 산의 형태를 음양오행설의 오행(목화토금수)으로 수산 화산 목산 금산및 토산이라 분류한 것을 말하며, 책에 따라서 수성 화성 목성 금성 및 토성이라고 한다.그리고 여기서 산은 평지보다 조금만 높아도(3cm) 산이라 부른다.
마.토산(토산):산의 정상부가 평평한 모양을 이룬 산을 말한다.
나.화산(화산):산의 형태가 마치 불꽃과 같이 뾰족뾰족한 모양의 산이다.목산(목산):산의 형태가 붓끝과 같이 뾰족한 산을 말한다. 그리고 산의 형태를 오행으로 분류한 목적은 그 산의 형태에 의한 영향을 analysis하여 그의 길흉에 대처하기 위해서이다.
주택과 풍수지리
산의 형태와 그 영향. 풍수 지리설에서 지세를 살피는 과정은 그 지세를 구성하고 있는 산수 및 방위등의 각각의 형태와 이들 상호 조화의 ... , 주택과 풍수지리인문사회레포트 ,
풍수 지리설에서 지세를 살피는 과정은 그 지세를 구성하고 있는 산수 및 방위등의 각각의 형태와 이들 상호 조화의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주택과 풍수지리.hwp( 49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산의 형태와 그 影響(영향).
순서






산의 형태와 그 영향.
풍수 지리설에서 지세를 살피는 과정은 그 지세를 구성하고 있는 산수 및 방위등의 각각의 형태와 이들 상호 조화의 관계를 analysis하는 작업이다.
산의 전후와 등배
풍수지리설에서는 산을 용(용)이라고 부른다. 그렇기 때문에 풍수지리설에 의한 지세의 analysis은 산의 성격 파악으로 부터 스타트한다.
가.수산(수산):산의 능선의 진행이 마치 물이 굽이쳐 흐르는 형태를 이룬산을 수산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들 지세의 3요소 가운데 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제일 크다.
다.
라.금산(금산):산의 형태가 둥근 모양의 산을 말한다. 또 산의 길흉의 구분은 산의 형태가 맑고 균형이 있으면 길하며, 이와 반대로 그 형태가 추하고 균형이 잡히지 못한것은 흉한 것으로 했다.
이러한 산의 형태에 따른 오행적 분류의 대표적 예로서 서울의 관악산을 꼽을수 있따 즉 서울의 남쪽에 위치한 관악산은 화산인 까닭에 한양에 빈번한 화재를 유발시키므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 화기를 억제하는 물의 동물인 해태의 석상을 광화문에 설치하여 관악산의 화기를 제압하게 했다. 산의 봉우리를 중심으로 말할때에는 `산`이라고 부르며, 능선을 중심으로 말할때에는 `용`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따 그리고 <인자수지(인자수지)>에도 『사람에게 등(등)과 배(배)가 있듯이 땅에도 …(투비컨티뉴드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