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實驗(실험)] 마그네슘의 연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2:20본문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마그네슘의 연소.hwp
마그네슘의 산화 반응으로 이 법칙을 확인하는 것이 이 實驗(실험)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따
[일반화학實驗(실험)] 마그네슘의 연소
일반화학실험,마그네슘의 연소
그러나 실험이 완전히 끝난 후 마그네슘 1몰당 reaction 한 산소 분자가 0.5몰이 아니고 0.368몰이 된 것은 실험상 오차라고 본다. 그러나 이것은 상관이 없다.(1)Abstract -이번 실험은 일정 성분비의 법칙에 관한 것이다. 실험 과정이 정밀하지 못해 정확한 실험은 하지 못했고 정확한 결과를 얻지는 못했다. 마그네슘의 산화 반응으로 이 법칙을 확인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것이 reaction 중간의 어느 순간이었다
實驗(실험) 과정이 정밀하지 못해 정확한 實驗(실험)은 하지 못했고 정확한 결과를 얻지는 못했다. (여기서 reaction 이 완전히 끝난 시각이라고 했던 345초가 reaction 이 아직 안 끝난 순간이라고는 볼 수 없다.
다. reaction 이 완전히 끝난 것인지에 대한 확인이 어려웠다. 불로 달구어져 밑이 빨간 도가니에 있는 산화마그네슘이 reaction 이 끝난 후의 것인지 reaction 중간에 있는 것인지 확인이 어려웠다.
(1)Abstract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일반화학실험] 마그네슘의 연소-2007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B%A7%88%EA%B7%B8%EB%84%A4%EC%8A%98%EC%9D%98%20%EC%97%B0%EC%86%8C-2007_01.jpg)
![[일반화학실험] 마그네슘의 연소-2007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B%A7%88%EA%B7%B8%EB%84%A4%EC%8A%98%EC%9D%98%20%EC%97%B0%EC%86%8C-2007_02_.jpg)
![[일반화학실험] 마그네슘의 연소-2007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B%A7%88%EA%B7%B8%EB%84%A4%EC%8A%98%EC%9D%98%20%EC%97%B0%EC%86%8C-2007_03_.jpg)


-이번 실험은 일정 성분비의 법칙에 관한 실험이었다. 그래프에서 보듯이 reaction 중간의 점은 원점과 그 점을 잇는 직선 상의 점이 되는 것이고 reaction 이 완전히 끝난 점은 그 점을 지나고 x축과 평행한 직선 상에 있는 점이므로 두 직선을 연결하면 실험에 맞는 그래프가 만들어지는 것이고 reaction 이 완전히 끝나는 시각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실험의 정밀성의 부족으로 reaction 이 끝나는 순간의 시각을 잘 못 측정(測定) 한 것 뿐이다. 마그네슘을 연소시키며 마그네슘과 산소와의 결합 비율을 확인해 보는 실험으로 비교적 간단한 실험이었다. 그런데 이번 실험에서의 오차는 당연한 결과였다고 본다.
-이번 實驗(실험)은 일정 成分비의 법칙에 관한 것이다.
순서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마그네슘의 연소.hwp( 15 )
이번 실험에서도 역시 오차가 났는데 생각보다 큰 오차였다. 왜냐하면 빨갛게 달구어진 밑바닥에 의해 마그네슘이 빨갛게 보이는 것인지, 아니면 reaction 중간이어서 빨간 것인지 식별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설명
그래서 reaction 이 완전히 끝나는 순간이었다고 생각되었던 345초는 reaction 이 끝난 지 얼마가 지난 순간이었고 따라서 173초 때의 순간은 reaction 이 완전히 끝나는 순간까지의 시간의 딱 절반이 아니라 그 시각이 지난 후 였다. 즉, 실험 자체가 잘못 된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실험 자체의 정밀도가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