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적시제출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9 01:16
본문
Download : 20041m_minsasosongD.hwp
(민사소송 제146조) 2) 적시제출주의의 목적 적시제출주의는 공격·방어방법의 제출이 원활한 심리의 진행을 방해하고 상대방 당사자에게 부당한 부담을 주는 경우에는 그 제출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으로 심리에 있어 쟁점을 압축·요점하여 효율적이고 탄력적인 심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3) 적시제출주의의 주요내용 …(To be continued )
다. 따라서 신법에는 적시제출주의(適時提出主義)를 적용하게 되었는데, 적시제출주의(適時提出主義)는 당사자가 공격방어방법을 소송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제출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Ⅰ. 서 론 , 1. 적시제출주의(適時提出主義)의 개요, 1) 적시제출주의의 定義(정이), 2) 적시제출주의의 목적, 3) 적시제출주의의 내용, , Ⅱ. 본 론, , 1. 적시제출주의의 의의, 2. 적시제출주의의 내용, 3. 적시제출주의의 실효성 확보, 3-1. 재정기간제도(裁定其間制度), 3-2. 실기(失期)한 공격방어방법의 각하(제149조 제1항), 3-3. 석명에 불응하는 공격방어방법의 각하 (제149조 제2항), 3-4. 중간판결의 내용과 저촉되는 주장의 제한(제201조), 3-5. 준비절차를 거친 경우의 새로운 주장의 제한 (제285조), 3-6 상고이유서제출기간 도과 후의 새로운 상고이유의 제한, (제427조, 제431조), 3-7. 답변서제출의무와 방소항변(妨訴抗辯), 3-8. 적시제출주의의 예외, , , Ⅲ. 결 론, , Ⅳ. 개정 민사소송법주요내용, , Ⅴ. 참고 문헌, , , 파일크기 : 85K
설명
순서
Ⅰ. 서 론 , 1. 적시제출주의(適時提出主義)의 개요, 1) 적시제출주의의 정의, 2) 적시제출주의의 목적, 3) 적시제출주의의 내용, , Ⅱ. 본 론, , 1. 적시제출주의의 의의, 2. 적시제출주의의 내용, 3. 적시제출주의의 실효성 확보, 3-1. 재정기간제도(裁定其間制度), 3-2. 실기(失期)한 공격방어방법의 각하(제149조 제1항), 3-3. 석명에 불응하는 공격방어방법의 각하 (제149조 제2항), 3-4. 중간판결의 내용과 저촉되는 주장의 제한(제201조), 3-5. 준비절차를 거친 경우의 새로운 주장의 제한 (제285조), 3-6 상고이유서제출기간 도과 후의 새로운 상고이유의 제한, (제427조, 제431조), 3-7. 답변서제출의무와 방소항변(妨訴抗辯), 3-8. 적시제출주의의 예외, , , Ⅲ. 결 론, , Ⅳ. 개정 민사소송법주요내용, , Ⅴ. 참고 문헌, , , FileSize : 85K , 적시제출주의법학행정레포트 , 적시제출주의재정기간제도 적시제출주의의예외 개정 민사소송법 주요내용
Download : 20041m_minsasosongD.hwp( 58 )
레포트/법학행정






적시제출주의재정기간제도,적시제출주의의예외,개정,민사소송법,주요내용,법학행정,레포트
적시제출주의
Ⅰ. 서 론
1. 적시제출주의(適時提出主義)의 개요
1) 적시제출주의의 definition
2) 적시제출주의의 목적
3) 적시제출주의의 내용
Ⅱ. 본 론
1. 적시제출주의의 의의
2. 적시제출주의의 내용
3. 적시제출주의의 실효성 확보
3-1. 재정기간제도(裁定其間制度)
3-2. 실기(失期)한 공격방어방법의 각하(제149조 제1항)
3-3. 석명에 불응하는 공격방어방법의 각하 (제149조 제2항)
3-4. 중간판결의 내용과 저촉되는 주장의 제한(제201조)
3-5. 준비절차를 거친 경우의 새로운 주장의 제한 (제285조)
3-6 상고이유서제출기간 도과 후의 새로운 상고이유의 제한
(제427조, 제431조)
3-7. 답변서제출의무와 방소항변(妨訴抗辯)
3-8. 적시제출주의의 예외
Ⅲ. 결 론
Ⅳ. 개정 민사소송법주요내용
Ⅴ. 참고 문헌
I. 서론 1. 적시 제출주의의 개요 1) 적시제출주의의 definition 개정 전의 민사소송법은 변론종결에 이르기까지는 당사자가 공격방어방법을 어느 때라도 자유롭게 제출할 수 있고, 그 순서도 정해놓고 있지 않은 수시제출주의(隨時提出主義)를 택하고 있었는데, 수시제출주의가 소송지연의 수단으로 악용되고, 당사자가 긴장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소송에 임하게 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