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의 길 정의(定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7 13:22
본문
Download : 제 3의 길 개념.pptx
하지만 회원국이 27개국으로 늘어난 2009년 현재 영국스페인포르투갈키프로스 등 4개국에서만 단독 집권하고 있따
_SLIDE_14_
_SLIDE_15_
한국적 제3의 길
_SLIDE_16_
conclusion
제3의 길은 극단적인 국가주의와 무government 적 자본주의를 초월하는 새로운 정치experiment(실험)으로서, 대다수의 나라에서 그 아이디어와 정책의 적용이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따
제3의 길이 제시하는 호로그램들이 일반적인 타당성을 갖고 있다 할지라도 한국적 현실에 맞게 재적용 되어야 할 것이다.
제3의 길 정치를 위한 호로그램은 무엇보다도 현대사회의 가장 강력한 變化의 힘인 지구화 과정에 대한 지방적,…(drop)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제 3의 길 개념 , 제 3의 길 개념인문사회레포트 , 제 길 개념






설명
제 3의 길 정의(定義)
제,길,개념,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제 3의 길 개념.pptx( 79 )
다.
제 3의 길 정의(定義)
_SLIDE_1_
목차
1. 제 3의 길 개념(槪念)
2. 제 3의 길 대두배경
3. 기든스 -5가지 딜레마
4. 기든스의 제3의길
5. 토니 블러어의 제 3의길
6. 제3의 길의 위기
7. 한국적 제 3의 길
_SLIDE_2_
고전적 사회민주주의 (1945 - 1975)
신 자유주의 (1975 1995)
_SLIDE_3_
제3의 길
_SLIDE_4_
_SLIDE_5_
_SLIDE_6_
‘제 3의 길’ 의 대두 배경
_SLIDE_7_
_SLIDE_8_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의 5가지 딜레마
기든스는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할 방법으로
제3의 길을 제시함
앤서니 기든스의 제 3의 길
_SLIDE_9_
1980년대 대처 주도의 개혁
→ 대처리즘
수정주의 전통 계승
실용주의
지속적인 수정주의
토니 블레어(Anthony Charles Lynton Blair) 의
제 3의 길
_SLIDE_10_
_SLIDE_11_
‘제 3의 길’ 의 위기
_SLIDE_12_
독일
포르투갈
스웨덴
프랑스
이탈리아
_SLIDE_13_
2000년 당시, 유럽에서 사민당과 사회당을 비롯한 중도좌파 세력들은 영국독일프랑스 등 유럽연합(EU) 15개 회원국 가운데 12개국에서 단독 집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