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병리와 노동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20:26
본문
Download : 한국사회병리와 노동의 문제.hwp
반면에 노동자는 자신이 속해 있는 일터를 아끼고 사랑하며, 자신이 행하는 노동행위가 직장의 생산적 제고(提高 )는 물론이고, 기업을 번창케하며, 나아가서 민족의 운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한국사회병리와 노동의 문제.hwp( 90 )
설명
순서
몇가지 처방
한국사회병리와 노동의 문제



몇가지 처방
우리나라가 당면하고 있는 국가적 위기와 국제질서의 전환기에 서서, 우리가 더욱 경제적으로 번영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업의 능률이 상승되어야 하고, 우수한 제품이 나와서 무역을 신장시켜야 함은 물론이다. 이것은 결과가 좋아질 일 일뿐 아니라 일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그 일 자체가 기쁨이 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노동을 더욱 건강한 형태의 것으로 바꾸기 위한 두번째 처방은 노동자가 자신의 입장과 분수를 받아들이고, 과대한 요구나 기대를 하지 않는 훈련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게 되면 자기의 떡은 작아 보이고 남의 떡은 커보이기 마련이며, 따라서 합리적 타협의 가능성이 희박하며, 엉뚱한 요구를 하기도 하고, 타협은 고사하고 파괴적으로 나가기 때문에 결국 자신은 물론 기업전체가 불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우리는 외형적 근대화나…(skip)
우리나라가 당면하고 있는 국가적 위기와 국제질서의 전환기에 서서, 우리가 더욱 경제적으로 번영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몇가지 처방우리나라가 당면하고 있는 국가적 위기와 국제질서의 전환기에 서서, 우리가 더욱 경제적으로 번영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 한국사회병리와 노동의 문제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간 우리의 전통사상속에는 서양사상에서 볼 수 있는 합리주의(合理主義)와 타협의 기술, 상대편의 입장에 대한 객관적 판단력 등의 훈련이 없었던 것??사실이다.
이렇게 되면 임금이 문제가 아니고, 자신의 모든 정성과 정열을 바쳐서 상품의 생산에 임하게 도리 것이다.
기업가는 종업원의 삶과 가족의 안녕을 보장하면서, 노동자의 자녀들로 하여금 보다 발전된 길로 갈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노동이 건전하게 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가나 노동자가 혼연일체가 되어서 움직여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갑자기 근대화의 거리를 두고 서양의 자본주의와 산업을 도입하는 일을 추진해 왔지만, 막상이런 대인관계나 대기업체 - 노동자관계 등에 있어서는 합리적이고 과학적 판단이나 타협정신은 없고 주먹구구식으로 나갔던 것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