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어와 지칭어에 관한 연구- 칭호의 의의 및 분류와 사회적 기능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5 10:51
본문
Download : 호칭어와 지칭어에 관한 연구- 칭호의 의의 및 분류와 사회적 기능 -.doc
호칭이란 어떤 사람을 직접 부르는 말이고, 지칭이란 어떤 사람을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가르키는 말인데, 모두 말할 때는 칭호(稱呼)라고 한다. 또한 “ 어머니, 할아버지께서 어머니를 찾고 계세요.” 라는 문장에서 ‘할아버지’는 지칭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 철수야, 지금 뭐하고 있니? “ 라는 문장에서, ‘철수야’는 철수를 직접 부르는 말이므로 호칭에 해당한다.
Download : 호칭어와 지칭어에 관한 연구- 칭호의 의의 및 분류와 사회적 기능 -.doc( 63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호칭어와지칭어에관한연구 , 호칭어와 지칭어에 관한 연구- 칭호의 의의 및 분류와 사회적 기능 -인문사회레포트 ,
호칭어와 지칭어에 관한 연구- 칭호의 의의 및 분류와 사회적 기능 -






호칭어와지칭어에관한연구
1.서론
1.1 선행 연구의 검토 및 문제제기
1.2 연구의 必要性 및 목적
2. 호칭어와 지칭어의 의의
3. 호칭어와 지칭어의 분류
3.1 선행연구의 고찰 및 문제제기
3.2 호칭, 지칭 각각의 분류
3.2-1 호칭(呼稱)의 분류
3.2-2 지칭(指稱)의 분류
3.2-3 호칭어와 지칭어를 합쳐서 분야별로 분류
3.2-4 명칭별 분류
4. 호칭와 지칭어 사용에서의 예절
5. 한국어 호칭체계의 특징
5.1 개괄적인 특징과 그 原因
5.2 개괄적인 특징과 그의 變化(변화)
6. 한국 호칭 체계가 사회에 미치는 influence(영향)
6.1 순기능
6.2 역기능
7. 맺음말
<부록> - bibliography
2. 호칭어와 지칭어의 의의
인간의 삶은 스타트부터가 사회생활 이고 사회생활은 곧 대인관계로 이어지며 원만한 대인 관계는 서로의 의사전달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의사 전달 수단의 스타트이 바로 상대를 부르고 가리키는 말들이다. 즉 상대를 부름으로써 상대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자기의 의사를 확실하게 바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므로 인간 사회에서 상대를 부르는 말이나 가리키는 말이 생겨난 것은 필연적이었으며 文化(문화) 발전과 history(역사) 의 흐름 속에서 많은 호칭어와 지칭어들이 생겨나고 없어지고 다시 생겨나는 순환을 거듭하면서 다양하게 발전하여 왔다.
한편 엄기정(2000)은 호칭에 대한 定義(정이)를 ‘면전에서 대화 상대방을 부르거나 그 상대방을 당사자에게…(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