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지역의 지적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1 04:52
본문
Download : 북한지역의 지적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hwp
북한지역의지적제도발전방향에관한연구 , 북한지역의 지적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북한지역의 지적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hwp( 52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제2장 북한의 지적제도 現況 分析
제1절 북한의 지적제도 變化
제2절 북한의 지적제도 現況
제3절 기술수준 및 최근 동향
제3장 북한지역 지적제도 발전방향
제1절 지적조사의 necessity
제2절 다목적 지적제도 확립
제4장 북한지역 지적조사사업 추진
제1절 기본전제
제2절 추진절차
제3절 지적조사사업 추진
제5장 conclusion(결론) 및 정책건의
3) 측량기준점
임시토지조사국에서 시가지 지세를 급히 징수할 목적으로 실시한 북한지역 특별소삼각측량지역은 평양, 의주, 신의주, 진남포, 강경, 원산, 함흥, 청진, 경성, 나남, 회령이 있다 일반삼각점의 설치는 총 34,447점 중에서 북한지역에 16,237점이 설치되었으며 수준점은 1,904점을 설치하였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북한지역의 지적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북한지역의지적제도발전방향에관한연구
북한지역의 지적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토지측량표규칙에 의하면 삼각점표석은 영구보전하며 도근점은 단지 측량기간 중에만 보전토록 되어 있다 그러나 시가지는 대개 토지이동이 빈번하여 지적측량을 필요로 할 때가 많고 경계의 정확성을 요하는 지역에는 도근점을 영구히 보전하여 지적측량에…(省略)
북한지역의 지적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