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터 및 배액환자 간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6 01:11
본문
Download : 카테터 및 배액환자 간호.hwp
● 시행시간, 시술자의 이름, 위관의 종류, 배액 형태, 환자 상태 등을 chart에 기록합니 다.카테터및배액환자간호 , 카테터 및 배액환자 간호의약보건레포트 ,
카테터 및 배액환자를 간호할때 간호 방법 몇가지와 그에 따르는 세부사항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 구토, 위팽만, 설사 ,오심, fever, 기침, 갈증, 변비 등의 증상이 있을 시에는 의사에게 알립니다.
카테터및배액환자간호






,의약보건,레포트
1. L-tube
1) 삽입목적
2) 간호시 고려 사항
2. 흉강관
1) 삽입 목적
2) chest bottle 준비
3) 간호관리
4) chest tube의 drainage type
3. 도뇨관과 Hemo-vac
1) Foley Catheterigation
2) Hemo-vac, Baro bag
4. EVD
1) EVD(Extra ventricular drainage)의 사용 목적
2) 간호시 고려사항
3) 배액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4) ICP monitoring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5.Ⅳ line과 중심정맥관
1) IV line
2) 중심정맥관
1. L-tube
1) 삽입목적
● 위장관으로부터 가스, 수술 후 분비물 제거(감압)를 하기 위해서입니다.
● 위관영양을 위해 장기적으로 관을 삽입하고 잇는 경우 2주일마다 교환하도록 합니다, 교환시 삽입 위치를 바꾸어…(생략(省略))
순서
설명
레포트/의약보건
카테터 및 배액환자를 간호할때 간호 방법 몇가지와 그에 따르는 세부사항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 위관을 통하여 영양을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 위장관내 검사를 위한 검체를 얻기 위함입니다.
- 주사기로 공기를 20cc 가량 위관을 통해 주입하여 상복부에서 청진기로 공기소리를 확인합니다.
● 위관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 주입 전 residual volume을 체크해서 성인인 경우 125cc 이상이 나오거나, 소아인 경 우 주입한 양의 1/2이 상이 나오면 의사에게 알려 계속 주입 여부를 확인합니다.
● 구강점막의 건조와 갈라짐을 막기 위해 구강간호를 실시합니다.
● 위장관내 출혈이 있는 경우 치료하기 위함입니다.
● 위관이 빠져 나오지 않게 반창고로 코에 잘 고정하며, 빰에 다시 한 번 고정합니다.
Download : 카테터 및 배액환자 간호.hwp( 96 )
카테터 및 배액환자 간호
다.
- 위관 한 쪽 끝을 물이 담긴 그릇에 넣어 보아 물방울이 생기지 않아야 합니다. 공급 후 30분~1시간은 같은 자세를 취해줍니다.
2) 간호시 고려 사항
(1) L-tube 삽입시
● 위관을 삽입하는 길이는 코→귀→검상돌기 까지의 길이입니다.
- 위액을 흡인해 봅니다.
● 위관삽입시 환자에게 청색증, 구역질, 기침, 호흡 곤란의 증상이 있는지 observe합니다.
(2) 위관영양을 해야 되는 경우
● 환자의 상태가 허락하면 45° 정도 앉은 자세를 취하고, 보릿차물(15~30cc)→처방난 용액→보릿차물(30~60cc)의 순으로 공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