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종의 제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4 19:04
본문
Download : 광종의 제국.hwp
태조 이후의 2대 혜종, 3대 정종, 4대 광종이 모두 태조의 왕자였다는 사실은 이같은 사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왕건이 죽은후 혜종이 왕 위에 올랐다. 하지만 왕자가 25명이란 사실은 이후의 왕위 계승에 심각한 문제를 예고하는 것이었다.중세사기말레포트광종의제국 , 광종의 제국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광종의 제국.hwp( 60 )
다.) 그리고 왕건은 자신의 두 딸을 경순왕에게 출가시켰다. (황해도와 경기도에 12명이 집중되어 있고, 다음이 경상도, 그리고 기타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지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왕건이 유력한 호족가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한 것은 호족의 결합을 굳건히 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었지만 한편으로는 많은 자손을 두어 왕가의 기반을 다져 고려 왕실의 번성을 꾀하려는 면도 있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혼인정책을 통해 각 지방의 대호족과의 결합을 굳게 하였고 29명의 부인에게서 25명의 왕자와 9명의 왕녀를 얻을 수 있었다. 혜종은 태조와 장화왕후 오씨의 장남으로 나주에서 출생했으며 이름은 무 이고 자는 승건이다. 왕건은 6명의 왕후와 23명의 부인을 맞고 있는데, 대체로 호족세력을 포섭하기 위한 정략 결혼이다.






광종의 제국
중세사기말레포트(report) 광종의제국
호족 억제책의 하나로 시행되었다고 하는 기인제도도 사실상 큰 결과 가 없었다. 특히, 강력한 호족출신이며 왕실의 외척으로서 권력을 쥐고 있던 왕규의 노골적인 암살음모를 가까스로 모면한 뒤에는 늘 신변의 위협을 느끼며 정치에 뜻을 두지 못하였다.
광종대왕의 개혁에 마주향하여 설명(說明)과 견해를 밝혔습니다. 한편, 그의 이복동생인 요는 서경의 왕식렴세력과 결탁하여 은근히 왕위를 엿보고 있었으므로 혜종대의 정치정세는 더욱 …(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광종대왕의 개혁에 대해서 설명과 견해를 밝혔습니다. 정략결혼이라는 사실의 근거는 부인들의 출신지를 보면 알 수있는데 부인들의 대부분이 정략상 요충지에 위치한 호족의 자녀라던가 아니면 대호족의 자녀인 것이다. 개경에 볼모로 올라온 호족의 아들이 군사를 데려와 자신을 지키게 할 정도였기 때문일것이다 그래서 왕건은 그들을 포섭하기 위한 방편으로 유력한 호족의 자녀들과 결혼을 하였다. 921년에 박술희를 후견인으로 하여 태자에 책봉되고, 943년 태조 가 죽자 왕위에 올랐으나 왕위를 노리는 강력한 적대세력 때문에 고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