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측정(測定) 과 온도계 보정 및 미지시료의 끓는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21:39
본문
Download : 온도측정과 온도계 보정 및 미지시료의 끓는점.hwp
1.1.2.섭씨온도(℃)기압에서 물의 어는점을 0℃로, 끓는점을 100℃로 하여 그 사이를 100등분한 온도입니다. 그러나 1954년 국제도량형총회에서 물의 3중점(공기가 함께 있지 않는 기체상액체상고체상의 평형점)을 273.16K로 정해 이를 기준으로 열역학적 온도의 수치를 정하도록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물의 녹는점은 273.16K, 끓는점은 373.15K입니다. 단위 기호는 ℃입니다.
1. 理論(이론)적 배경 :1.1 온도를 나타내는 척도
1.1.1 절대온도(K)절대온도는 열역학의 제 2법칙에 따라 정해진 온도입니다. 따라서 높은 쪽의 온도 T1을 기준으로 하면 다른 온도T2는 이 사이클의 열효율에 의해 정해지며 T1에서 작업물질로 바뀐 열량을 Q1, T2에 부여한 열량을 Q2라 하면 T2〓T1Q1/Q1, 또는 T2/T1〓Q2/Q1이라는 관계가 성립됩니다.설명



온도측정과 온도계 보정 및 미지시료의 끓는점 , 온도측정과 온도계 보정 및 미지시료의 끓는점기타실험과제 , 온도측정과 온도계 보정 및 미지시료의 끓는점
온도측정(測定) 과 온도계 보정 및 미지시료의 끓는점
온도측정(measurement)과 온도계 보정 및 미지시료의 끓는점
1.서론
◆experiment(실험) 목적
experiment(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온도계는 부정확한 경우가 많습니다. 2개의 열원 간에 있는 어떤 종류의 물질을 써서 가歷史이클을 실현시켰을 때, 열효율은 작업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두 열원의 온도 T1, T2로 결정되는 것이 열역학제 2법칙에 의해 증명됩니다. 1742년…(skip)
실험과제/기타
순서
온도측정(測定) 과 온도계 보정 및 미지시료의 끓는점
Download : 온도측정과 온도계 보정 및 미지시료의 끓는점.hwp( 19 )
온도측정과,온도계,보정,및,미지시료의,끓는점,기타,실험과제
다. 온도눈금의 간격을 정함에 있어 예전에는 물의 녹는 젊과 끓는점을 기준으로 해서 1백 등분한 것을 1도의 온도차로 하는 방법이 채택돼 있었습니다. 섭씨, 화씨, 열씨 온도 등과는 달리 물질의 특별한 상태와 관계가 없는 것이 절대온도의 특징입니다. 국제도량형 총회에서는 모든 온도 측정(measurement)의(定義) 기준이 될 기본적인 온도로서 이 절대 온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그러므로 정확한 온도의 측정(measurement)을 위해서 온도계의 보정이 필요합니다.
보정된 온도계의 온도를 통해 미지시료의 끓는점을 알아봅니다. 또한 절대온도 0도는 열역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최저의 온도로서 분자의 열운동은 이 온도에서 완전히 지정된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에 의해 정의(定義)된는 온도가 바로 절대온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