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등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3:41
본문
Download :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hwp
기능theory 은 사회를 유기체에 비유한다. 그는 뒤르껨과 마찬가지로 학교교육의 사회화기능을 강조하는 동시에 산업사회에서의 인력배치기능을 부각시킴으로써 사회적 선발기능도 강조하였다.
① 뒤르껨(Emile Durkheim)
② 파슨스(T.Parsons)
・사회는 여러 하위 요소들로 구성되고 각 하위 요소는 상호의존 및 협력 관계에 있음 (사회 안정유지)
・계층은 기능의 차이에 바탕을 둔 차등적 보상체제의 결과 (질적인 우열X)
(1)기능주의theory
※ 주제 : 교육 사회학 이론을 기능주의 갈등주의 해석학적 이론으로 나누어 사회관 교육관 사회적 선발관 연구내용 및 방법의 차이점을 조사하시오
・변화와 개혁보다는 현상유지를 지지한다.
※ 주제 : 교육 사회학 이론을 기능주의 갈등주의 해석학적 이론으로 나누어 사회관 교육관 사회적 선발관 연구내용 및 방법의 차이점을 조사하시오
Download :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hwp( 71 )
순서
- 파슨스(T.Parsons)는 기능theory 을 더욱 다듬어 체계적 theory 으로 발전시켰다.
1.기능주의 theory
(2)기능주의 사회관
- 뒤르껨(Emile Durkheim)은 교육을 사회 생활을 아직 갖추지 못한 어린 세대를 위한 성인 세대의 influence(영향)력 행사라고 定義(정이)하였고, 그 목적은 전체로서의 정치사회와 아동이 장차 소속하게 되어 있는 특수環境(환경)의 양편이 요구하는 지적, 도덕적, 신체적 제 특성을 아동에게 육성 계발하는 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사회가 어떻게 해체되지 않고 지속 되는가”에 관심을 가진다. 그는 사회와와 사회적 선발을 사회체제로서의 학교의 기본기능으로 파악한 것이다.
・사회는 안정과 질서유지라는 합의된 목표(goal)를 가진다.
교육사회학,교육사회학 기능론,교육사회학갈등론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등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813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5D%20%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20%EA%B8%B0%EB%8A%A5%EB%A1%A0%EA%B3%BC%20%EA%B0%88-8134_01.jpg)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813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5D%20%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20%EA%B8%B0%EB%8A%A5%EB%A1%A0%EA%B3%BC%20%EA%B0%88-8134_02_.jpg)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813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5D%20%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20%EA%B8%B0%EB%8A%A5%EB%A1%A0%EA%B3%BC%20%EA%B0%88-8134_03_.jpg)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8134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5D%20%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20%EA%B8%B0%EB%8A%A5%EB%A1%A0%EA%B3%BC%20%EA%B0%88-8134_04_.jpg)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과 갈-8134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5D%20%EA%B5%90%EC%9C%A1%EC%82%AC%ED%9A%8C%ED%95%99%20%EA%B8%B0%EB%8A%A5%EB%A1%A0%EA%B3%BC%20%EA%B0%88-8134_05_.jpg)
・사회를 유기체에 비유
- 기능주의 교육theory 은 꽁뜨(Auguste Comte)와 스펜서(Herbert Spencer)에 의해 기초가 형성되어 뒤르껨(Duckheim), 파레토, 브라운 등에 의해 다양하게 발전하여 미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 파슨스(Parsons)에 이르러 매우 포괄적인 사회학 theory 으로 정립되었다. → 보수적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