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혼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01:33
본문
Download : 한국의 혼례.hwp
이튿날 신부가 시부모에게 폐백을 드린 뒤 사흘을 묵고 친정으로 갔다가 다시 시집으로 오는 우귀를 했다.
레포트/기타
순서
한국의혼례
Download : 한국의 혼례.hwp( 81 )
한국의 혼례에 대해 조사한 자료(data)입니다. 그러나 두 집의 거리가 멀거나 기타사정으로 전안례만 올리고 신부를 맞아오기가 힘든 경우가 많아 신부집에서 모든 의식을 끝내고 사흘 뒤 시집으로 오는 관습이 차차 자리 잡았다. 옛날에는 신랑이 저녁때 신부집으로 가서 전안례(奠雁禮:목기러기 혹은 원앙을 전하는 의식)만 올리고 신부를 데리고 신랑집으로 와서 교배례와 근배례를 올리고 첫날밤을 지냈다.
다. 신부가 두 번 절하고 신랑이 한번 절한 뒤, 다시 신부가 두 번 절하면 신랑이 한번 답례한다.






한국의 혼례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교배례는 신랑 신부가 서로 절을 하는 절차로 교배상을 사이에 두고 동쪽에 신랑이, 서쪽에 신부가 선다. 한국의혼례 , 한국의 혼례기타레포트 ,
한국의 혼례
설명
,기타,레포트
마지막 단계로 신랑이 친히 신부를 맞이한다는 뜻이다. 근배례는 술 석 잔을 마시는 예로 신부쪽에서 잔에 술을 부어 신랑에게 보내면 신랑은 잔을 받아 땅위에 조금 부어 토지신에게 바치고 조금 마신 뒤 신부에게 보낸다. 신부도 이 요령을 반복하고 이번엔 신랑쪽에서 술을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