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의 신선과 선녀-도교의 흔적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0:00
본문
Download : 금강산의신.hwp
선인들은 불편하기 짝이 없었으므로 천제에게 어떻게 조치를 취해 주실 것을 간청하였다. 이 다섯 산에는 선인들이 하루에도 몇 번씩 하늘을 날아서 산과 산 사이를 왕래하며 산다. 그리하여 남은 방장산 영주산 봉래산을 가리켜 삼신산이라고 하였다. 또한 봉래라는 명칭에는 신선사상이 결부되어 있는데, 도교에서 전해오는 전설적인 삼신산의 하나이다. 우리 조상들에게는 본래 고유한 하늘숭배, 신선사상이 있어서 불교가 수용되기 전에는 금강산을 신선들이 산다는 선산으로 불러왔다. 최정훈․장용경 지음, 『금강산 그 든든한 힘』, 도서출판 이토, 1998
(1)사선이 선유하였다는 삼일포
평화문제연구소 엮음, 『나는 지금 금강산으로 간다』,평화문제연구소 펴냄, 1998
금강산도교 봉래산오악 신선선녀 / <참고문헌> 최정훈․장용경 지음, 『금강산 그 든든한 힘』, 도서출판 이토, 1998 최남선저, 『금강예찬』, 동명사, 2000 평화문제연구소 엮음, 『나는 지금 금강산으로 간다』,평화문제연구소 펴냄, 1998 유홍준지음, 『나의 북한 문화 유산답사기(상, 하)』 중앙M&B, 2001 송효순 저, 『환상의 탐방』한국도서관 협회, 1981 ()
()
Download : 금강산의신.hwp( 25 )
유홍준지음, 『나의 북한 文化 유산답사기(상, 하)』 중앙M&B, 2001
1.오신산 중의 하나인 봉래산
2.오악에대해
(1)봉래라는 명칭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봉래는 여름철에 부르는 금강산의 명칭으로 봉우리와 계곡에 짙은 녹음이 깔려 신록의 경치를 볼 수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에서도 삼신산을 본떠 금강산이 봉래산으로 지리산을 방장산으로...
금강산의 신선과 선녀-도교의 흔적들
(2)해상에 석주군상을 이룬 장관의 총석정
순서
금강산도교 봉래산오악 신선선녀 / <참고문헌>





4.도교의 흔적이 보이는 금강산의 지명들
금강산도교 봉래산오악 신선선녀
송효순 저, 『환상의 탐방』한국도서관 협회, 1981
1)봉래대·연화대
(1)오악사상
최남선저, 『금강예찬』, 동명사, 2000
(2)민족의 영산! 동악-금강산
<bibliography>
3.이름 곳곳에 풍기는 화랑의 발자취....
다. 그런데 이 다섯 개의 산은 산기슭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파도나 조수가 움직임에 따라서 오르락 내리락 하여 잠시도 멈추지 않았다. 그리하여 천제가 바다 속에 살고 있는 상상치도 못 할 만큼 거대한 자라 열 다섯 마리에 명하여 한 차례(次例)에 6만년씩 3교대로 머리를 들어올려 다섯 산을 지탱하도록 시켰다. 그로부터 산은 움직이지 않았는데, 어느날 용왕의 나라에 살고 있는 거인이 대여산과 원교산을 받치고 있는 큰 자라 여섯 마리를 자기 나라로 돌아가 버렸다고 한다. 발해(渤海)로부터 동쪽으로 몇 억 만리인지도 모르게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 엄청나게 큰 골짜기가 있다아 그 골짜기 가운데 대여(岱輿) 원교(員嶠) 방장(方丈) 영주(瀛州) 봉래(蓬萊)라고 하는 다섯 개의 높은 산이 있다고 한다. 이 다섯 산을 가리켜 오신산이라 한다.